메모리란
RAM이라고 불리며
Random Access Memory의 약자이다
사용자가 자유롭게 내용을 읽고 쓰고 지울 수 있는 기억장치이다.
컴퓨터가 켜지는 순간부터 CPU는 연산을 하고 동작에 필요한 모든 내용이
전원이 유지되는 내내 이 기억장치에 저장된다.
주기억장치로 분류되며 램이 많으면 한 번에 많은 일을 할 수 있기에
책상이라고 비유되기도 한다.
램을 많이 확보하면 하드드라이브에 기록되는 것과 달리 거의 실시간으로
더 많은 데이터를 액세스하고 읽을 수 있다.
RAM이 중요한 이유
시스템의 속도와 성능은 설치된 램의 용량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
램이 충분하지 않으면 멀티태스킹이나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앱을 열어둘 때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보통 컴퓨터하다가 여러개의 창이 열려있는데 이것들이 바뀌는 속도라던가 로딩시간지연
등등 컴퓨터가 느려졌다고 느껴질 때가 있는데 이게 램용량부족이 원인일 수 있다.
램의 성능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속도와 대기 시간 사이의 관계이다. 기본적인 수준에서, 대기 시간은
명령을 입력한 때와 해당 데이터가 사용 가능해질 때 사이에 지연된 시간이다.
메인메모리에 주로 사용되는 램은 일반적으로 컴퓨터의 전원이 차단되면
내용이 지워지느 휘발성 기억장치이다.
전원이 차단되어 정보가 날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
속도는 느리지만 하드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같은 보조기억장치가 있다.
옛날에는 많이 사용했지만 요즘에는 pc가 대중화되고 조립형 pc보다 완제품이 많아지며
램가격도 낮아지는 바람에 존재감이 점점 옅어지고 있다.
메모리라고 하면 메모리카드나 usb메모리와 착각할 수 있는 게 메모리이다.
전원이 꺼져도 내용이 지워지지않는 NVRAM도 있지만 현재 램을 대체하지는 않는다.
열로 인한 물질의 상전이나 자기장 같은 물질의 온갖 특성들을 동원해 전원이 꺼져도 정보를 저장하는 방식이다.
실용화가 된다면 처리와 저장을 동시에 cpu와 ram과 하드디스크 ssd의 기능을 동시에 가질 수 있지만
상용화실패했다.
메모리와 비슷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는게 스토리지가 있다
메모리와 스토리지의 차이는 메모리가 단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위치라고 한다면
스토리지는 장기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액세스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구성품이다.
스토리지는 무기한으로 어플리케이션, 운영시스템 및 파일을 저장한다
아까 말한 책상이 램이라면 스토리지는 서류캐비닛이라고 한다
이 둘의 중요한 차이점은 메모리는 컴퓨터가 꺼지면 모두 종료되는 반면
스토리지는 컴퓨터가 꺼지는 횟수와 상관없이 손상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