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물리 계층과 데이터 계층

무녀누 2024. 5. 23. 13:01

물리계층이란?

 

OSI 7 계층 중 가장 아래에 있으며 시스템 간의

물리적인 연결을 하고 전기 신호의 변환 및 제어 역할을 담당한다

7~2 계층을 거쳐온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바꾸어 전송하며

전기적 신호의 규격을 정의한다

전송속도나 신호 레벨 같은 것들

 

네트워크 통신은 복잡한 정보를 주고받지만 실제로는 0,1만 사용한다

단위는 bit단위이며 주요 프로토콜은

허브 리피터 네트워크 카드가 있다.

물리적인 정보 전달 매개체에 대한 연결의 성립 및 종료
여러 사용자들 간의 통신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하는 데에 관여한다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사용자 장치의 디지털 데이터를 이에 상응하는 신호로 변환, 변조 이 신호들은 광섬유 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들이다. 예를 들어 scsi가 여기에 속함
물리계층은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 비트를 전송하는 계층 데이터 링크 개체 간의 비트 전송을 위한 물리적 연결을 설정유지해제
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전송 매체는 신호를 보내는 방법을 정의한다.

 

쉽게 생각하면 물리 계층은 벽에 있는 랜선 포트에서 나와 허브까지 연결된 부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0101 형식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오류검증은 하지 않는다.

 

데이터 계층이란?

 

포인트 투 포인트 간 디지털화 된 데이터들에 대해 비트단위로 신호화 및 동기화를 하여

최대한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하기 위한 계층이다.

 

전송단위는 프레임
대표 장치는 l2 switch 모뎀 기지국 ap
프로토콜은 csma/cd csma/ca slott aloha, dac/adc muliplexer, demultiplexer, mac주소 등

 

물리계층에서 구현된 한 단위의 데이터인 프레임을 받아 통신 링크를 따라 전송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역할로
비트의 흐름을 전자기 또는 광 신호로 변환 후 매체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주로 사용되는 장비는 데이터단말장비(DTE) 데이터 통신장비(DCE)가 있다

DTE와 DCE


DTE란

 데이터 수신장치의 예로 데이터 제어통신기능을 가지는 단말장치나 주 컴퓨터 장치

DCE란

반대로 DTE와 전송로 사이에서 접속을 유지 해제 부호변환 신호 변환의 기능을 제시해 주는 역할
네트워크 위의 개체들 간 데이터를 전달하고 물리 계층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찾아내고,

수정하는 데 필요한 기능적 절차적 수단을 제공한다